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삶과 믿음] 인생 성공 길: 반조와 행동 수정

일본의 어떤 병원에서 죽기 전 1000명의 임종 환자를 대상으로 ‘인생에 있어서 무엇을 가장 후회하는가’에 관한 설문조사를 했다고 합니다. 임종 직전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후회하는 것은 “내 인생 목표를 위해 최선을 다하지 못했다.”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삶을 살지 못했다.” “몸과 마음 관리를 잘하지 못했다.” 등이라고 합니다.     죽음 직전에 인생을 돌아보고 그들은 아마 여러 가지 후회를 했을 것입니다. 그들이 젊고 건강할 때 자기를 돌아보고 자기 삶과 행동을 수정하는 시간을 정기적으로 가졌다면 그들 인생은 크게 달라졌을 것입니다. 크게 후회가 없는 삶을 살았을 것입니다.   소크라테스는 “반조하지 않은 삶, 돌아보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 - The unexamined life is not worth living이라고 말했습니다.     죽기 직전에 돈을 많이 벌지 못해, 혹은 세상에서 성공하지 못한 것이 후회된다고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   죽음 그리고 무상(無常)이라는 진리 앞에 우리는 참으로 무엇이 주요하고 가치 있는가를 깨닫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죽어가는 자의 말은 선(善)하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겨울 정기훈련을 나는 제자들에게 원불교 창시자 소태산 대종사께서 당부 말씀을 전했습니다.   “중생들의 생활은 마치 아이들의 소꼽놀이와 같아서 큰일이나 하는 것 같이 종일토록 부산히 싸대나 아무 소득이 없는 것이다. 가족 몇 식구 데리고 의식에 급급하여 탐·진·치로 죄만 짓고 사는 것이다. 부처님들은 생사의 이치와 인과의 이치가 사시 순환 주야 변천같이 되는 것을 깨달아서 육도 사생을 자유 자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중생들은 내 마음이지마는 내 마음을 내 마음대로 못하고 물욕에 끌려서 마음을 내고 들이는 것이 마치 가을철에 마른 잎이 바람 부는 대로 쏠려 다니는 것 같은 것이다. 그대들은 여기에 주의하여 내 마음을 내 마음대로 하는 힘을 얻어서 만법 귀일의 이치를 알아서 무상 대도를 성취하기 바라노라.”     한국의 모 재벌 한 분이 중년 이후에 암 수술을 몇 차례 받았습니다. 60세가 넘은 후 받은 마지막 암 수술 후에는 주치의가 다음과 같이 솔직히 말을 했다고 합니다. “이제는 회복 가능성이 크게 높지 않으니 잘 준비를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의사의 말을 듣고 그분은 세수하며 정신을 차리려 화장실에 갔다고 합니다. 세면대에서 이빨을 닦기 위해 칫솔을 들 때 한 감상을 얻었다고 합니다. ‘죽어 갈 때는 내가 이 칫솔 하나도 가지고 갈 수 없구나.’   다음은 소태산 대종사와 그의 법통을 이은 정산 종사의 법문입니다.   “사람이 평생에 비록 많은 전곡을 벌어 놓았다 하더라도 죽을 때에는 하나도 가져가지 못하나니, 하나도 가져가지 못하는 것을 어찌 영원한 내 것이라 하리오. 영원히 나의 소유를 만들기로 하면, 생전에 어느 방면으로든지 남을 위하여 노력과 보시를 많이 하되 상(相)에 주함이 없는 보시로써 무루(無漏)의 복덕을 쌓아야 할 것이요, 참으로 영원한 나의 소유는 정법에 대한 서원과 그것을 수행한 마음의 힘이니, 서원과 마음공부에 끊임없는 공을 쌓아야 한없는 세상에 혜복의 주인공이 되나니라.”     정산 종사 말씀하시기를 “…화려한 제 뿔만을 사랑하고 잘못 생긴 제 다리는 미워하던 사슴이 포수에 쫓기어 숲속을 헤쳐 나올 때 저를 살려준 것은 잘못 생겼으되 잘 뛰어준 다리였고 저를 죽일 뻔하게 한 것은 화려하되 숲에 거리끼기만 하던 뿔이었다는 이야기는 한낱 우화에 불과하나, 돌이켜 생각하면 이 세상을 여실히 풍자한 경어라 할 것이니라.”     수행자는 매일 “하자는 조목과 말자는 조목을 돌아보아야 한다”고 대종사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그 하자는 조목과 말자는 조목’이 단지 내가 어떤 세상 프로젝트를 잘 실행했는지 아닌지를 돌아보라는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내가 인생의 진리적 목표와 서원하에 ‘하자는 조목과 말자는 조목’을 반조하라는진리적, 근원적 반조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세상을 다 얻고 네 영혼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 있으리오.” 예수님 말씀입니다. 유도성 / 원불교 원달마센터 교무삶과 믿음 인생 성공 인생 성공 인생 목표 그들 인생

2025-02-20

추천서를 써줄 교사를 도울 수 있는 방법 [ASK미국 교육/대학입시-지나김 대표]

▶문= 대학 입시에서 필수인 추천서(letters of recommendation) 를 써줄 교사에게 학생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     ▶답= 교사 추천서는 입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학생이 내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통제권이 없다. 하지만 교사에게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려주는 정보를 미리 전달하면 교사가 추천서를 작성할 때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입시 뿐만 아니라 내가 구상하는 장기적인 목표를 교사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사가 학생에 대한 정보가 많으면 많을수록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는 추천서를 써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학생이 지원하는 모든 대학의 원서 마감일을 교사에게 건넬 자료에 기입하는 것이다. 정확한 마감일을 숙지하고 있으면 일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데 도움이 된다.     대학입시를 치를 때는 뚜렷한 ‘테마’(theme)가 있어야 한다. 이것은 학생이 어떤 사람인지 밝히고, 대학에 가서 어떤 역할을 하기 원하는지를 설명하는 문장이 돼야 한다. 이런 테마도 추천서를 부탁한 교사에게 전하는 것이 현명하다. 교사들은 추천서를 요청하는 학생이 좋은 대학에 진학해서 큰 꿈을 펼치기를 바란다.     그런데 학생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 모른다면 추천서를 어떻게 써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을 것이다. 학생이 공부를 마친 후 의사, 변호사 등 높은 수준의 전문지식을 요하는 프로페셔널이 되기를 원한다면 리고러스한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대학을 선택해야 한다. 학생이 사회 환원에 관심이 있어 전문직에 종사하며 돈을 많이 벌고 싶다면 이런 인생 목표가 추천서를 통해 반영될 수 있도록 교사에게 요청한다.     학생은 자신에 대한 3가지 특징을 선택해 이들 특징을 잘 보여주는 스토리를 작성한다. 스토리는 길지 않아도 되지만 구체적인 디테일이 포함돼야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식당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학교를 다닌다면 바쁜 휴일에 정신없이 고객들을 서브했던 경험을 교사에게 알려주면 학생의 직업정신과 가치관을 알게 된다. 이 같은 정보를 전달받은 교사는 학생이 어떤 사람이고, 지금까지 무엇을 했는지에 대한 정확한 스토리를 만들 수 있다.     추천서는 가능하면 11학년 2학기가 끝나기 직전에 부탁하는  것이 좋다. 추천서를 써줄 교사를 확보한 후 여름방학 동안 교사에게 건넬 자료들을 준비하자.       ▶문의: (855)466-2783 / www.TheAdmissionMasters.com미국 대학입시 교사 추천서 대학 입시 인생 목표

2025-01-1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